회원공간
공지사항
대한골다공증학회, 낙상사고 많은 겨울철 '골절 예방 건강강좌' 개최
작성자
웹관리자
작성일
2016-12-15
조회
8088
첨부파일

• 경기도 밤밭노인복지관에서 골절 고위험군인 어르신들 대상으로 교육 진행

• 아주의대 내분비내과 정윤석∙최용준 교수가 골절 예방 강의 및 낙상방지 운동


[2016년 12월 14일] 대한골다공증학회(회장 박예수)는 낙상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겨울철을 맞이하여 골절 위험군의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골절 예방에 기여하기 위해 경기도 수원시 밤밭노인복지관에서 '찾아가는 골절 예방 건강강좌'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강좌는 아주의대 내분비내과 정윤석 교수와 최용준 교수가 각각 △골다공증 △낙상예방 등의 내용으로 강의를 진행했으며, 강의 도중 골절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낙상 예방을 위한 하지 근력 단련과 평형성 증진에 도움이 되는 운동동작을 배워보는 시간도 마련됐다. 강좌가 끝난 후에는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평소 어르신들의 골절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도 가졌다.

최근 발표된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 사고 사례의 절반(48.9%)은 낙상 사고가 원인이다1. 계절별로는 겨울이 4,643건(38.1%)으로 가장 많고, 여름 2,700건(22.1%), 봄 2,605건(21.4%), 가을 2,247건(18.4%) 순이다.

또한 국민건강보험 심사청구자료에 따르면 50세 이상 환자에서의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률은 연평균 3.8% 증가하고 있다2. 중장년 여성에서 자주 발생하는데, 50세 여성 10명 중 3명은 평생 한 번 이상 골다공증성 골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골절을 한 번 경험한 환자들은 갑작스럽게 재발되는 골절과 이로 인한 극심한 통증을 경험하는데 골절치료 이후에도 지속되는 만성통증과 신체기능장애로 거동이 불편해지고 자기관리와 일상생활이 더욱 어려워지는 등 신체적, 사회심리적으로 극심한 고통을 겪게 된다. 치료를 위해 자녀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게 되고, 동시에 정신적 우울감, 불안감을 느끼는 등 개인과 가족의 심리적, 경제적 고통이 가중되는 측면도 있다4.

골절 가운데서도 척추 및 고관절 골절은 치명적인 질환이다. 골절 발생 후 거동이 불가능해지고, 사망률을 8배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의 72%, 고관절 골절 환자의 59%가 골절 발생 후 5년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6, 사전 예방과 낙상 방지 운동 등 평소 관리가 중요하다. 골다공증 환자라면 평소 정기적인 병원 방문을 통해 필요 시 약제를 처방 받고 질환을 관리해야 한다.

강의를 진행한 아주의대 정윤석 교수는 "중증 골다공증은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질환이지만 골다공증 환자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제 복용을 통한 관리, 식단 관리, 근력강화 운동 등을 통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를 통해 자기 뼈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치료 및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예수 회장은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가 바로 골다공증이라고 생각한다"며 "골절 위험군인 어르신들께 관련 정보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골절 예방 건강강좌를 학회 차원에서 진행했으며 이번 강좌가 어르신들의 골절 예방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밤밭노인복지관 조성호 관장은 "어르신들을 위해 건강강좌를 진행해 준 대한골다공증학회 측에 감사 드린다"며 "밤밭노인복지관은 앞으로도 지역주민과 소통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지역사회 공동체로서 노인 행복과 건강한 삶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 한국소비자원 보도자료_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_2016년 11월 30일 배포
2 2005∼2008년 국민건강보험 심사청구데이터 분석
3 Osteoporosis Fact Sheet 2014, 대한내분비학회
4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한 노인환자의 치료 실태 및 사회부담 조사, 2012
5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The breaking Spine 2010
6 Johnell O, et al. Osteoporos Int. 2004 Jan;15(1).38-42.